이 게시물은 양식에 구애받지 않고 수시로 변경됩니다.
- 당연하지만 프론트엔드(Front End)는 HTML, CSS, Javascript로 만들어진 웹(Web) 애플리케이션입니다.
- 영상등의 주소URL을 내가 알 수 있고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. 다만, 프리미엄 사용자 여부를 알 수 없으면 광고가 중간에 튀어나올 것입니다.
- 기본적으로 YouTube는 구글 계정을 사용합니다.
- 채널 URL로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은 정보들이 있습니다.
- 왼쪽에 햄버거 표시를 누르면 구독했던 채널목록이 표시됩니다.
- 맨 위에 배너사진
- 프로필 사진 및 채널명, 구독자수
- 홈 탭
- 동영상 탭
- 재생목록 탭
- 커뮤니티 탭
- 채널 탭
- 정보 탭
- 오른쪽 중간에 있는 관련 채널
- 그 외 영상들 제목과 조회수 및 날짜관련 정보
- 채널 주소의 패턴은 “/user/user_id”, “/channel/channel_id” 로 표시가 됩니다.
- 홈 탭은 주소끝에 /featured로 끝납니다.
- 동영상 탭은 주소끝에 /videos로 끝납니다.
- 재생목록 탭은 주소 끝에 /playlists로 끝납니다.
- 커뮤니티 탭은 주소 끝에 /community로 끝납니다.
- 채널 탭은 주소 끝에 /channels로 끝납니다.
- 정보 탭은 주소 끝에 /about로 끝나는데, 아래와 같은 항목들이 있습니다.
- 설명
- 세부정보
- 링크
- 통계 (가입일, 전체 조회수)
- 사용자 지정채널
- 관련채널
- 채널 자체의 검색기능이 있습니다.
- playlist는 list라는 변수에 PLC5zthMcoZQjPOpsMfcIfw_ePjBCD2QGF 같은 포맷을 씁니다.
- 개별 영상은 v라는 쿼리변수에 11자리의 ID를 사용합니다. 예)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1-xGerv5FOk
- 재생목록 전체 화면은 다음과 같이 playlist URL 패턴을 사용합니다. 예) https://www.youtube.com/playlist?list=PLYT4vq6pQVSvfGdP3MdKZegD8Ub_0pqPS
- 재생목록에서 영상을 실행할 경우 다음과 같이 watch URL 패턴을 사용합니다. 예)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1-xGerv5FOk&list=PLYT4vq6pQVSvfGdP3MdKZegD8Ub_0pqPS
- 단축 URL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예) https://youtu.be/r3LiyKA4gqs
- 기본적으로 동영상 퍼가기 즉, Embedded 정보를 제공해 줍니다.
<figure> <iframe width="560" height="315" allowfullscreen="" src="https://www.youtube.com/embed/r3LiyKA4gqs"> </iframe> </figure>
- 개별 영상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있습니다.
- 해시태그(#), 제목, 조회수, 추천, 반대수
- 프로필 사진, 채널명
- 영상 설명 및 영상 설명에 있는 해시태그(#)
- 실시간 영상도 표시가 됩니다. 아래 주소가 YouTube 전체영상에 대한 실시간 채널인지 여부는 현재 알 수 없습니다. https://www.youtube.com/channel/UC4R8DWoMoI7CAwX8_LjQHig
- 고급설정에 들어가면 장소를 변경 할수 있고 해당 국가 기준으로 영상이 표시가 됩니다.
- 최근 본 동영상은 시청 기록 사용 설정에 따라 기록 유형을 선택해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.
마지막 수정일: 2019년 2월 7일 목요일